홈으로_커뮤니티_건강칼럼
우울증 유발하는 유전자 발견
우울증을 유발하는 유전자가 발견돼 새로운 치료제, 특히 기존의 약이 듣지 않는 40%의 환자를 치료할 수도 있는 항우울제 개발의 길이 열렸다고 미국 의학논문 소개 사이트 유레칼러트와 온라인 과학뉴스 사이언스데일리가 17일 보도했다.
미국 예일대학 정신과 전문의 로널드 듀먼 박사는 사망한 우울증 환자 21명과 우울증 병력이 없었던 사람 18명의 뇌조직 게놈을 스캔한 결과 우울증 환자의 뇌조직에서는 MKP-1 유전자의 발현이 일반인보다 2배나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논문은 영국의 의학전문지 '네이처 메디슨(Nature Medicine)' 최신호에 발표됐다.
듀먼 박사에 따르면, 쥐의 MKP-1 유전자를 작용하지 않게 녹아웃(knock-out)시키면 스트레스에 탄력적인 반응을 보인 반면 이 유전자를 활성화시키면 우울증과 비슷한 증상을 보였다고 밝혔다.
듀먼 박사는 “MKP-1 유전자가 지나치게 활성화되면 뉴런의 생존ㆍ기능에 중요한 분자 경로가 차단ㆍ손상돼 우울증, 다른 신경계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인다”며 “따라서 이 유전자의 과도한 활성화가 우울증의 1차적 원인이거나 최소한 우울증을 촉진하는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경우 우울증 발생률이 연간 16%에 이르고 그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1,000억 달러나 되지만 아직 정확한 병의 원인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우울증 증상과 항우울제의 효과는 환자마다 차이가 있으며 치료효과가 나타나는데 몇 주에서 몇 달씩 걸린다. 기존의 어떤 항우울제도 듣지 않는 환자도 40%에 이르고 있다. 듀먼 박사는 “이 유전자의 발견으로 우울증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표적이 발견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건강을 위한 첫걸음 - 하이닥 (www.hidoc.co.kr)